본문 바로가기
금융

[2025년 9월] 고금리 예금 비교: 1금융·저축은행·인터넷은행 금리 TOP & 세후 이자 계산

by rebloom 2025. 9. 5.
728x90
반응형
 

금리 0.1%p 차이가 1년 뒤엔 진짜 돈이 됩니다. 오늘 딱 10분만 투자해서, 내 예금 이자 더 챙겨가요.

어제 적금 만기 알림이 와서 “이 돈, 어디에 다시 묶지?”를 한참 고민했어요. 부모님은 여전히 1금융만 고집하시지만, 저는 요즘 저축은행 특판이랑 인터넷은행 금리도 꼼꼼히 봅니다. 뭐랄까, 0.05%p라도 더 받으면 괜히 기분이 좋잖아요.

오늘은 2025년 9월 현재의 예금 금리 흐름을 한눈에 정리하고, 실제로 세후 이자가 얼마 남는지 표로 계산까지 해볼게요.

분산예치랑 예금자보호 1억원 상향(9월 1일 시행)도 같이 체크합니다. 돈 얘기지만, 너무 딱딱하지 않게. 우리 사이에서만 말하자면, 요즘 특판 타이밍이 진짜 핵심이에요.

 
 
 

[2025년 9월] 고금리 예금 비교: 1금융·저축은행·인터넷은행 금리 TOP & 세후 이자 계산
[2025년 9월] 고금리 예금 비교: 1금융·저축은행·인터넷은행 금리 TOP & 세후 이자 계산

2025년 9월 금리 한눈에 보기

2025년 9월 현재, 시장금리는 완만한 하향 흐름이 이어졌지만 예금 금리는 여전히 “연 3% 안팎” 구간에서 승부가 납니다. 특히 예금자보호 한도가 9월 1일부터 1억원(원리금 합산)으로 상향되면서, 안전자금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심리가 강해졌죠.

이런 이슈 하나만으로도 분산예치 전략이 새로 고쳐 쓰이는 분위기입니다. 정부·유관기관 공식 자료가 확인되며(시행령 개정, 9월 1일 시행) 요건은 단순합니다.

한 금융회사 당 원금+이자 합계 1억원까지만 보호됩니다. 그 말인즉, “원금 1억원을 꽉 채워 넣으면 이자 일부는 보호 밖”이라는 점을 항상 계산에 넣어야 한다는 뜻이죠. 시장에서는 1금융은 우대조건 충족 시 2%대 후반, 저축은행은 일반·특판 기준 3%대 초중반 상품이 포착됩니다. 상호금융 일부, 저축은행 특판에선 3% 중후반 금리가 간헐적으로 등장합니다.

1금융권 금리 TOP & 조건

주요 시중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은 “기본금리+우대금리”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0.1~1.0%p 수준의 우대가 급여이체·마케팅 동의·신규고객 여부 등에 달려있어, 조건 충족 가능한지가 실금리를 좌우합니다. 아래 표는 9월 초 기준 보도 및 공시에서 확인된 ‘대표 사례’를 보여줍니다(실가입 전 은행연합회 비교공시·각 은행 앱에서 반드시 재확인 하세요)

은행/상품 12개월 금리(세전) 핵심 우대조건 비고/출처
Sh수협은행 첫만남우대예금 최고 연 2.9% 신규고객, 마케팅 동의 등 보도 인용, 세부조건 앱 확인 권장.
Sh수협은행 헤이정기예금 기본 연 2.7% 우대없음(기본) 보도 인용.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 최고 연 2.75%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제주은행 J정기예금 최고 연 2.75%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NH농협 NH고향사랑기부예금 최고 연 2.6%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최고 연 2.45%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인터넷은행 금리와 가입 팁

인터넷은행은 공지 이후 금리 반영이 빠르고, 우대 없는 “단일 금리” 구조가 많아 단순·직관적입니다. 다만 변동 폭이 잦으니 공지 시점, 시행일, 중도해지율 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토스뱅크는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처럼 이자 지급 타이밍이 독특한 상품이 있고, 카카오·케이뱅크도 앱 공지/상품공시실에서 금리·해지율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최근 8월 중순~말 일부 은행에서 수신 금리 조정 이슈가 있었고(인하 포함), 가입 시점 금리가 만기까지 유지되는지(고정)도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 공지 ‘발표일’과 ‘시행일’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시행일 이후 신규·재예치분부터 새로운 금리가 적용되는지 확인하세요. 
  • 중도해지금리는 구간별로 다릅니다. 3·6·9개월 경계에서 해지율이 달라지니 표를 꼭 보세요.
  • 우대 없는 단일금리 상품은 조건 스트레스가 적은 대신, 특판 변동을 수시로 체크해야 유리합니다.
  • 앱 푸시/문자 알림을 켜 두면 특판 오픈·금리 변경을 빠르게 잡을 수 있어요.

저축은행 금리 TOP & 리스크 체크

저축은행권은 12개월 기준 연 3%대 초반~중반이 ‘체감 상단’으로 보입니다. 9월 초 보도 기준으로는 DB저축은행(연 3.35% M특판정기예금), 조은저축은행(연 3.3%), HB저축은행·동양저축은행(각 연 3.26%)이 눈에 띄고, 업권 평균은 약 3.0% 수준으로 제시됩니다.

다만 특판은 수시로 매진·변경되고, 영업점/비대면 여부나 예치한도·우대조건에 따라 체감 금리가 달라집니다. 또한 개별 저축은행의 건전성 공시(BIS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등)도 꼭 확인하세요.

수신금리만 보고 전액을 한 곳에 넣기보다, 예금자보호 한도 내에서 분산예치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은행/상품 12개월 금리(세전) 핵심 우대조건 비고/출처
DB저축은행 M특판정기예금 최고 연 3.35%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조은저축은행 기본 연 3.3%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HB저축은행, 동양저축은행 최고 연 3.36%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전국 저축은행 정기예금(1년 만기) 평균 금리 최고 연 3.0% 우대조건 충족 시 보도 인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신협 등) 금리

상호금융은 12개월 기준 연 3%대 초반~중반이 ‘체감 상단’으로 보입니다. 9월 초 보도 기준으로는 울산 강남새마을금고 블록예금 (연 3.7%), 서울 청담동·부산 해운대새마을금고 (연 3.2%), 전남 나주새마을금고 (연 3.1%), 광주 어룡신협 (연 3.15%), 으뜸신협 & 보목신협 (각각 연 3.10%) 이 눈에 띄고, 업권 평균은 약 3.0% 수준으로 제시됩니다.

세후 이자 계산법 & 시뮬레이션(12개월, 단리 가정)

기본 공식은 간단합니다. 세후이자 = 원금 × 연이율 × (1 - 세율).

일반 이자소득세는 보통 15.4%로 가정합니다(특례·우대 과세 상품은 예외). 아래 표는 대표 금리 구간(연 2.75% / 3.00% / 3.35% / 3.50%)에서 원금별 1년 세후 이자와 월평균을 보여줍니다. 또한 2025년 9월 1일부터 예금자보호 한도는 원리금 합계 1억원으로 상향되었으므로, 원금 1억원을 채울 경우 발생 이자 일부는 보호 대상이 아님을 유의하세요.

원금 연 2.75% (세후) 연 3.00% (세후) 연 3.35% (세후) 연 3.50% (세후)
1,000
만원
232,650원 / 월 19,388원 253,800원 / 월 21,150원 283,410원 / 월 23,618원 296,100원 / 월 24,675원
3,000
만원
697,950원 / 월 58,163원 761,400원 / 월 63,450원 850,230원 / 월 70,853원 888,300원 / 월 74,025원
5,000
만원
1,163,250원 / 월 96,938원 1,269,000원 / 월 105,750원 1,417,050원 / 월 118,088원 1,480,500원 / 월 123,375원
1
억원
2,326,500원 / 월 193,875원 2,538,000원 / 월 211,500원 2,834,100원 / 월 236,175원 2,961,000원 / 월 246,750원

※ 단리 가정·원 단위 반올림. 상호금융·특례과세·비과세종합저축 등은 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원리금 1억원 한도 유의.

1억원 예금자보호·분산예치 체크리스트

  • 보호 한도는 “원리금 합계 1억원/금융회사당”. 원금 1억원을 꽉 채우면 이자 일부는 보호 제외. 
  • 저축은행·상호금융은 공시된 BIS비율·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하고, 가능하면 2~3곳으로 나눠 담기.
  • 특판은 예치한도·기간·조기종료 가능성 체크. 알림 켜두고, 만기 직전 1~2주 “갈아타기” 캘린더를 미리 만들어두기.
  • 우대금리 항목(급여이체/카드실적/마케팅 동의 등) 중 “실현 가능한 것만” 선택. 억지로 카드 쓰면 본말전도.
  • 중도해지율·자동연장(복리 효과)·만기 후 금리(대개 낮음)까지 한 번에 비교.

자주 묻는 질문

1금융 vs 저축은행, 어디가 유리할까?
절대 안전성·편의성은 1금융이 우위, 표면 금리는 저축은행이 우위인 경우가 많습니다. 체감 금리는 우대조건·특판 유무에 크게 좌우되므로 “이동성(갈아타기 가능성) + 분산예치” 관점으로 보세요. 9월 현재 저축은행권 1년물은 3%대 초중반이 자주 관측됩니다.
예금자보호 1억원은 정확히 어떻게 적용되나?
한 금융회사 기준, 원리금 합계 1억원까지 보호됩니다. 원금 1억원을 예치하면 발생 이자 일부는 보호 제외가 될 수 있죠. 여러 금융회사로 나누면 각 회사별로 한도가 적용됩니다(2025년 9월 1일 시행).
인터넷은행 금리는 왜 자주 바뀌나?
수신 경쟁·시장금리·자금조달 상황에 따라 공지 후 특정일에 변경됩니다. 가입 시점 금리가 만기까지 유지되는지(고정/변동), 중도해지율, 자동연장 조건을 함께 보세요. 공지와 시행일이 다른 경우도 흔합니다.
세후 이자는 어떻게 계산하나?
일반적으로 “원금 × 연이율 × (1 - 0.154)”로 계산합니다. 단, 상호금융 우대세율이나 특정 비과세·분리과세 상품은 예외입니다. 계산 편하게 하려면 0.846을 곱하면 됩니다.
실시간 금리는 어디서 확인하나?
1금융은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예금상품 금리 비교”, 저축은행은 저축은행중앙회 비교공시가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세부 조건·중도해지율은 각 은행 상품공시실/앱 공지를 확인하세요.

오늘도 결국 결론은 “조건·시점·분산”이더라고요. 저는 만기 2주 전부터 알람을 걸어두고, 1금융·인터넷·저축은행을 한 번에 돌려보며 갈아탈 후보를 두세 개 만들어둡니다.

그러다 특판이 뜨면 망설임 없이 이동! 실전에서 이 0.1%p가 연말에 보너스로 돌아옵니다. 혹시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다면, 본인 상황(예치금, 기간, 선호 은행)을 글 내용에 맞춰 비교해 보세요. 제 생각에는, 함께 표를 돌려보고 “세후 기준”으로 최적 조합을 찾는 게 제일 현실적이에요. 혼자 끙끙대지 말고 똑똑하게 굴려봐요. 진짜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