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월간 업데이트] 1금융권 예금 금리 순위: 우대조건까지 총정리

by rebloom 2025. 9. 5.
728x90
반응형
 

같은 1금융이라도 ‘우대 0.1%p’가 결과를 갈라요. 이번 달, 꼭 챙겨야 할 순위와 조건만 콕 집어드립니다.

요즘 제 주말 루틴이 생겼어요. 커피 한 잔 내려놓고 은행 앱을 차례로 열어 예금 공시를 훑는 일. 만기자금이 들어올 때마다 “이번엔 어디로 묶지?”를 스스로 인터뷰하듯 묻습니다.

신규고객 우대, 마케팅 동의, 디지털 채널 가입 같은 조건들이 매번 헷갈리죠. 그래서 매달 실제 보도·비교공시를 근거로 1금융권 예금 금리를 정리했습니다.

오늘은 이번 달 순위와 우대조건을 깔끔히 요약하고, 세후 이자표와 예금자보호 1억원 시대에 맞춘 분산예치 팁까지 같이 묶어둘게요. 다음 달엔 이 표만 업데이트하면 끝. 시간을 아껴보자고요.

 
 
 

[월간 업데이트] 1금융권 예금 금리 순위: 우대조건까지 총정리
[월간 업데이트] 1금융권 예금 금리 순위: 우대조건까지 총정리

이번 달(9월) 1금융권 금리 트렌드

9월 초 기준 보도·비교공시에 따르면 1년 만기 정기예금의 체감 상단은 우대 포함 2%대 후반입니다. 특히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이 최고 연 2.90%로 소개되며 상단을 형성했고, SC제일은행(디지털 전용 e-그린세이브예금)과 일부 지방은행이 2.65~2.75% 구간에서 경쟁하는 모양새입니다.

다만, 금리는 수시 공지·시행으로 바뀌며, 같은 달 기사라도 수치가 다를 수 있으니 공식 비교공시와 각 은행 앱의 상품공시실로 항상 재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한편 9월 1일부터 예금자보호 한도가 원리금 합계 1억원으로 상향되어, ‘한도 내 분산’ 기준점이 바뀌었습니다. 우대 조건을 얼마나 현실적으로 충족하느냐에 따라 실수령 세후 이자 차이가 커지니, 이번 달도 우대항목을 먼저 점검해 보세요.

TOP 예금 금리 순위(12개월) & 우대조건 요약

아래 표는 9월 초 보도 및 비교공시를 바탕으로 정리한 대표 사례입니다. 실제 가입 전에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각 은행 앱 공시에서 최신 금리를 다시 확인하세요.

은행·상품 12개월 금리(세전) 핵심 우대조건 근거
Sh수협은행
Sh첫만남우대예금
최고 연 2.90% 첫거래 1.0%p, 마케팅동의 0.05%p, 상품알리기 사용 0.80%p(만기) 보도 요약.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디지털)
최고 연 2.75% 신규고객 보너스 0.2%p, 마이백통장 출금 신규 0.1%p, 비대면 가입 보도 요약.
제주은행
J정기예금
최고 연 2.65%
(일부 기사 2.75%)
비대면 가입 0.3%p, 월간 Jbank 로그인 0.2%p(만기) 보도 요약.
BNK경남은행
The파트너예금
최고 연 2.65% 장기거래·마케팅동의·급여/연금입금·카드실적 등 조합 보도 요약.
JB전북은행
내맘쏙 정기예금
최고 연 2.65% 모바일 첫거래·마케팅 동의·입출금 이용 등 보도 요약.

※ 표는 ‘대표 사례’이며 변동 가능. 최신 수치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각 은행 앱의 상품공시실에서 재확인하세요.

우대조건, 현실적으로 어떻게 채우나

우대금리는 ‘가능한 것만 골라 챙긴다’는 마인드가 중요합니다.

신규고객, 마케팅 동의, 디지털 채널 전용, 특정 계좌에서 출금해 가입, 월간 앱 로그인 등은 비교적 간단한 축에 속하고, 급여이체·카드실적·자동이체는 생활패턴과 충돌할 수 있어요. 특히 수협 ‘Sh첫만남우대예금’처럼 상품 알리기 기능을 활용하면 만기 시 추가 우대를 주는 사례도 있습니다. SC제일 e-그린세이브처럼 ‘지정 통장에서 출금해 신규’ 조건도 자주 등장합니다.

결국 “이번 달 내 상황에서 무리 없이 달성 가능한 조합”을 먼저 정해두면 갈아타기가 쉬워집니다.

  • 신규/첫 거래 우대는 가장 손쉬운 가점. 해당 은행 거래 이력이 최근에 없다면 우선 체크.
  • 디지털 전용(모바일·인터넷) 가입 및 ‘지정 통장 출금 신규’ 조건은 앱에서 간단히 해결.
  • 마케팅 전체 동의(0.05%p 등)는 흔하지만, 알림 빈도를 고려해 선택.
  • 급여/연금 입금, 자동이체, 카드실적은 생활패턴에 맞추어 ‘가능하면’만 충족.

신규·특판 포착법 & 공시 확인 루트

예금 금리는 ‘공지일’과 ‘시행일’이 다를 수 있고, 은행별로 인하·인상 기조가 달라 타이밍 싸움이 됩니다.

신한은행이 7월 7일부터 예금금리를 최대 0.25%p 인하한 사례처럼, 시장금리 흐름을 반영한 조정이 주기적으로 일어나죠. 따라서 월초·중순·월말에 한 번씩 비교공시와 은행 앱 공시실을 확인하는 습관이 유리합니다.

기본 루트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 예금상품 금리 비교’에서 후보를 추리되, 최종 수치는 각 은행 앱/홈페이지 공시로 확정하세요. 변경 안내문(공지사항)과 상품설명서의 ‘중도해지이율·자동 재예치·우대 적용 시점’을 꼭 읽어야 실제 수령 이자에 오차가 없습니다.

세후 이자 시뮬레이션(12개월·단리·이자소득세 15.4%)

계산식은 세후 이자 = 원금 × 연이율 × (1 − 0.154)입니다. 1금융권 상단 구간(2.7~3.0%)에서 자주 비교하는 네 구간을 담았습니다. (원 단위 반올림)

원금 연 2.70% (세후) 연 2.80% (세후) 연 2.90% (세후) 연 3.00% (세후)
1,000
만원
228,420원 / 월 19,035원 236,880원 / 월 19,740원 245,340원 / 월 20,445원 253,800원 / 월 21,150원
3,000
만원
685,260원 / 월 57,105원 710,640원 / 월 59,220원 736,020원 / 월 61,335원 761,400원 / 월 63,450원
5,000
만원
1,142,100원 / 월 95,175원 1,184,400원 / 월 98,700원 1,226,700원 / 월 102,225원 1,269,000원 / 월 105,750원
1억원 2,284,200원 / 월 190,350원 2,368,800원 / 월 197,400원 2,453,400원 / 월 204,450원 2,538,000원 / 월 211,500원

※ 상호금융·비과세종합저축 등은 세율 예외 가능. 원리금 1억원 한도 유의.

예금자보호 1억원 시대 분산예치 체크리스트

  • 한도 적용: 금융회사별로 원리금 합계 1억원까지 보호. 원금만 1억원을 꽉 채우면 이자 일부는 보호 밖. 
  • 분산 기준: 여러 은행으로 나누면 회사별 한도를 각각 적용받음.
  • 시행 시점: 2025년 9월 1일부로 상향 시행. 기존 5천만원에서 두 배.
  • 예치 전략: 동일 은행 1억원 근접 시, 이자 발생분을 감안해 9천만 원대 배분 고려.
  • 확인 루트: 은행연합회 비교공시 + 각 은행 앱 공지/상품공시실 교차 확인.

자주 묻는 질문

최고금리와 기본금리, 무엇을 봐야 할까?
기본금리는 ‘조건 없이’ 적용되는 이율, 최고금리는 우대 충족 시 가능한 상단입니다. 실제 수령 이자는 내가 달성 가능한 우대만 반영해 계산해야 합니다. 비교공시(은행연합회)로 후보를 추리고 앱 공시로 최종 확인하세요. 
이번 달 상단 금리는 어느 정도로 보나?
최근 보도 기준, 1년물 상단은 우대 포함 2%대 후반(수협 ‘첫만남우대’ 2.90%, SC제일 2.75% 등)으로 관측됩니다. 달 내 변동 가능성이 있어 월별로 재확인 권장.
금리 공지와 시행일이 다르면 어떤 게 적용되나?
보통 시행일 이후 신규/재예치 건부터 새 금리가 적용됩니다. 은행 공지사항·상품공시에서 변경 전/후 금리와 적용 시점을 확인하세요.
세후 이자는 어떻게 빨리 계산하나?
세후 = 원금 × 연이율 × (1−0.154). 즉 0.846을 곱하면 됩니다. 예: 1천만원에 연 2.9%면 세후 245,340원(월 20,445원).
예금자보호 1억원은 언제부터, 어떻게 적용되나?
2025년 9월 1일부터 금융회사당 원리금 합계 1억원까지 보호됩니다. 여러 은행으로 나누면 회사별로 한도가 각각 적용돼요.

마무리

이번 달도 답은 단순했습니다. 조건·시점·분산.

내가 무리 없이 달성 가능한 우대만 골라 조합하고, 월초·중·말 세 번은 공시를 확인하며, 동일 은행에서 원리금이 1억원에 닿기 전에 다른 곳으로 가볍게 분산하기.

저는 만기 2주 전 알림을 걸어두고, 후보 예금 2~3개를 장바구니처럼 준비해 둡니다. 특판이 뜨면 바로 이동하고, 아니면 우대가 잘 맞는 상품으로 연장. 이 작은 습관이 연말에 ‘세후 기준’으로 꽤 쏠쏠한 보너스를 만들어주더라고요.

여러분 상황(예치금·기간·선호 은행)을 표와 조건을 같이 돌려보며 월별 최적 조합을 찾아보세요. 다음 업데이트 때도 핵심만 빠르게 담아 올게요.

 

 

[2025년 9월] 고금리 예금 비교: 1금융·저축은행·인터넷은행 금리 TOP & 세후 이자 계산

금리 0.1%p 차이가 1년 뒤엔 진짜 돈이 됩니다. 오늘 딱 10분만 투자해서, 내 예금 이자 더 챙겨가요.어제 적금 만기 알림이 와서 “이 돈, 어디에 다시 묶지?”를 한참 고민했어요. 부모님은 여전히

rebloom.dilimo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