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금리인데, 통장에 꽂히는 돈은 왜 다를까요? 세율 1% 차이가 한 달 생활비를 바꿉니다.
요즘 금리가 오르락내리락하니 예·적금 가입할 때 가장 먼저 계산기를 켜게 되죠. 저도 퇴근길 카페에서 커피 한 잔 두고 이자 계산만 하다가 시간이 훅— 지나가더라고요.
그런데 딱 함정이 있어요. 금리는 같은데 세후 이자, 그러니까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이 제각각이라는 것. 15.4% 원천징수와 조합원 저율과세(낮은 세율)의 차이가 꽤 큽니다.
오늘은 계산 공식을 깔끔히 정리하고, 바로 써먹을 수 있는 표와 체크리스트까지 챙겨 드릴게요. 숫자 스트레스 내려놓고 깔끔하게 결론부터 뽑아보자고요.
세후 이자 계산기의 기본 공식
세후 이자는 단순합니다. 세전 이자 × (1 − 세율).
세전 이자는 보통 원금 × 연이자율 × (보유기간/연단위)로 잡고, 보유기간은 일수/365 또는 개월/12로 환산하죠.
예를 들어 1,000만원을 연 4%로 1년 동안 맡기면 세전 이자는 40만원. 여기에 15.4% 원천징수를 적용하면 40만원 × 0.846 = 338,400원, 조합원 저율과세 9.5%를 가정하면 40만원 × 0.905 = 362,000원입니다.
숫자만 보면 “에이, 몇 만 원 차이잖아” 싶지만, 기간이 길어지고 금액이 커질수록 체감이 확 커져요. 복리 상품이라면 이 차이가 다음 회차의 원금처럼 작동해 또 다른 차이를 만듭니다. 작지만 꾸준한 차이, 생활비 한 끗을 좌우하는 포인트죠.
15.4% 원천징수 의미와 적용 범위
일반 은행 예·적금 이자에는 통상 소득세 14%와 지방소득세 1.4%가 합쳐진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분리과세’로 끝나서 종합소득 신고 때 다시 합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상황(고금리 특판, 기타 금융소득과 합산 등)에서는 다른 규정이 얽힐 수 있어요. 핵심은 내가 받는 세후 이자가
세전 이자 × 0.846
로 깔끔히 계산된다는 것. 아래 표처럼 금리가 같아도 세율 차이만으로 손에 쥐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가정 (원금 1,000만원, 1년) | 세전 이자 | 세후(15.4%) | 세후(9.5% 예시) | 차이 |
---|---|---|---|---|
연 3.0% | 300,000원 | 253,800원 | 271,500원 | +17,700원 |
연 4.0% | 400,000원 | 338,400원 | 362,000원 | +23,600원 |
연 5.0% | 500,000원 | 423,000원 | 452,500원 | +29,500원 |
조합원 저율과세(9.5% 예시) 자격·한도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 등 일부 조합의 조합원/준조합원은 요건을 충족하면 일반 15.4% 대신 낮은 세율(예: 9.5%)이 적용되는 상품이 있습니다. 다만 기관·상품 유형별로 가입 자격, 적용 한도, 기간이 제각각이고, 특정 이자·배당만 해당될 수 있어요. 보유한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 여부, 분리과세/종합과세 요건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요건만 되면 계산은 간단합니다. 세후 = 세전 × (1 − 0.095)
. 이게 끝. 단, 실제 적용 가능 여부는 창구에서 본인 자격 확인이 필수예요.
- 조합원 가입(또는 준조합원) 조건과 거주지/직장 연계 여부 점검
- 세율 적용 가능한 상품인지(예·적금, 출자금 배당 등) 확인
- 연·월 한도, 기간 제한, 중도해지 시 세율/이자 변동 여부 확인
세후 이자 계산기: 실전 입력 예와 팁
계산기의 핵심은 변수 세 가지—원금, 연이자율, 기간—그리고 세율 한 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원금 1,500만원, 연 4.2%, 6개월 예금이라면 세전 이자는 15,000,000 × 0.042 × (6/12) = 315,000원
. 여기에 15.4% 원천징수를 적용하면 315,000 × 0.846 = 266, , 990원(반올림 기준 266, , 0원 근처), 저율과세 9.5%라면 315,000 × 0.905 = 284, , , 250원입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규칙은 단순해요. 일수계산(예: 181/365)까지 반영하면 더 정확해지고, 복리 상품은 회차마다 세후 금액이 다음 회차 원금에 더해지는지만 체크하면 됩니다. 팁을 하나 더 보태면, 금리 차이가 0.1%p만 나도 세후 차이가 꽤 커집니다. 고정비(통신비·관리비 등) 한 항목 정도는 거뜬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요.
예치기간·금리별 세후 비교표
아래는 원금 1,000만원, 연 4.0% 단리 가정의 기간별 비교입니다(단순 월/12 환산). 실제 상품은 일수 계산이나 복리 구조로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세율 차이가 결과를 어떻게 바꾸는지 직관적으로 보기에 충분합니다.
기간 | 세전 이자 | 세후(15.4%) | 세후(9.5% 예시) | 차이 |
---|---|---|---|---|
3개월 | 100,000원 | 84,600원 | 90,500원 | +5,900원 |
6개월 | 200,000원 | 169,200원 | 181,000원 | +11,800원 |
12개월 | 400,000원 | 338,400원 | 362,000원 | +23,600원 |
제도·세율 적용 요건은 기관·상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세무 문의는 가까운 영업점 또는
에서 확인하세요.놓치기 쉬운 체크리스트와 절세 실수
작은 디테일이 결과를 갈라놓습니다. 아래 항목을 가입 전·후로 꼭 한 번씩만 점검해도 세후 차이를 확실히 줄일 수 있어요. 뭐랄까, 진짜 똑똑한 게으름의 기술이라고나 할까.
- 조합원/준조합원 자격 충족 및 증빙(주소·재직 등) 준비 확인
- 저율과세 적용 한도와 타 금융소득과의 관계(분리/종합) 체크
- 중도해지 시 이자/세율 불이익, 우대금리(자동이체·급여이체 등) 유지 조건
- 복리/단리 구조, 일수계산(말일·공휴일) 및 지급일 반영 여부
- 특판·만기자동 재예치 시 갱신 금리와 세율 적용 방식 재확인
세율은 제도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은 영업점 확인이 최우선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저율과세와 비과세는 뭐가 다를까요?
복리 상품도 같은 방식으로 세후를 계산하나요?
중도해지하면 세후 이자는 어떻게 바뀌죠?
지방소득세 1.4%는 항상 포함인가요?
조합원 가입만 하면 무조건 저율과세가 되나요?
세후 이자 차이가 큰데, 어느 정도 금액부터 체감되나요?
마무리
오늘 내용, 생각보다 간단했죠? 원금과 금리, 기간, 세율—이 네 가지만 알면 세후 이자는 한 줄로 떨어집니다.
중요한 건 내게 적용될 정확한 세율과 조건을 확인하는 습관입니다. 조합원 저율과세가 가능하다면 세후 차익은 생활에 바로 체감됩니다.
다음 통장 정리하는 날, 잠깐만 계산기 두드려 보세요. 괜히 수고한 하루가 아니구나—하는 작은 미소가 분명 따라올 거예요. 혹시 헷갈리는 케이스는 직접 계산해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거예요. 직접 해보는 게 노하우가 됩니다!
[2025년 9월] 고금리 예금 비교: 1금융·저축은행·인터넷은행 금리 TOP & 세후 이자 계산
금리 0.1%p 차이가 1년 뒤엔 진짜 돈이 됩니다. 오늘 딱 10분만 투자해서, 내 예금 이자 더 챙겨가요.어제 적금 만기 알림이 와서 “이 돈, 어디에 다시 묶지?”를 한참 고민했어요. 부모님은 여전히
rebloom.dilimoo.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vs 3%대: 금리 차·리스크·편의·세금 종합비교 (1) | 2025.09.08 |
---|---|
예금자보호 1억원 시대: 자금 분산·기관 선택 가이드 (0) | 2025.09.07 |
특판 예금 놓치지 않는 법: 기준·주의점·알림 세팅 (2) | 2025.09.06 |
단기 vs 12개월: 기간별 금리 상위 은행 리스트 (0) | 2025.09.06 |
인터넷은행 정기예금 맞대결: 가입 편의성 vs 기본금리 (0) | 2025.09.06 |